영작이 바로 되는 한국인이 말하고 싶었던 영어표현

"통념을 깨다"를 영어로?

ktiffany 2025. 3. 31. 02:27

그 영화는 영화 속 로맨스에 대한 통념을 깼다.

>> The movie de_ _ed convetion about romance in film.

 

그 영화는 영화 속 로맨스에 대한 통념을 깼다.

>> The movie defied convetion about romance in film.

 

국어사전에서는 "통념(通念)"을 "일반적으로 널리 통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한다. 이 정의에 맞는 영어 단어는 어떤 것일까? 그래도 가장 적합한 단어는 "convention"이 아닌가 한다. 영어에서 "convention"은 "a custom or a way of acting or doing things that is widely accepted anf followed" 또는 "behavior that is considered acceptable or polite to most members of a society"로 정의한다. 사실 정확히 따지자면 국어사전의 정의와 영어사전의 정의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국어사전에선 기본적으로 "널리 통하는 생각"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영어사전에에서는 "널리 통하는 행동양식"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하나는 "생각"이라는 좀 더 추상적인 면으로 정의를 하고, 또 하나는 겉으로 나타나는 구체적인 행동이나 양식에서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결국 "사고"가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고, "사고"가 "행동"으로 나타나야 우리가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통념"을 "convention"으로 옮기는 것은 무리가 없다고 생각된다. 

 

 

그러면, 이제 우리 관심의 초점인 "통념을 깨다"로 넘어올 수 있다. "통념을 깨다"는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면 될까? "깨다"는 보통 영어에서 "break"로 옮기면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기존 틀을 깨다"라고 할 때 영어로는 "break the mold"라고 하면 그만이다. 같은 맥락으로 "통념을 깨다"를 "break convention"이라고 하면 될까? 전혀 못알아들을 것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관용적이지 않다. 이것은 영어에서 "convention"을 "행동"적인 관점에서 정의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 폭력적 행동을 하려 한다면 우리는 이를 "깨는" 것이 아니라, "저항"하거나, "저지"하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영어에서 "convetion"은 "break"하지 않고, "defy"한다. "defy"는 좀 생소할 수도 있는 단어지만, 보통 "거스르다"라는 정도의 의미로 보면 된다. 즉 "통념을 거스르는" 것이다. 사실 우리말로 옮겨도 그렇게 어색한 표현은 아니다.

<필자 사진> 브로드웨이 뮤지컬 "위키드(Wicked)" (거쉰 씨어터)

 

아마 뮤지컬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defy"라는 단어가 친숙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유명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위키드(Wicked)"에서 가장 유명한 뮤지컬 넘버가 "Defying Gravity"이기 때문이다. 브로드웨이 뮤지컬 "위키드"는 2003년 거쉰 씨어터(Gershwin Theatre)에서 막을 올렸으니, 20년 넘게 장기공연을 하고 있는 것이다. 거쉰 씨어터는 좌석이 1,900석이 넘는 대형극장으로 브로드웨이 공연 극장으로서는 사실 최대 규모이다. 이런 극장을 20년 넘게 장기공연하면서 자리를 채운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1996년부터 브로드웨이 장기고연을 이어오고 있는 뮤지컬 "시카고(Chicago)"가 뮤지컬 "위키드"보다 오래 공연하고 있긴 하지만, 좌석 규모로 보면 뮤지컬 시카고를 공연하는 브로드웨이 극장 "앰배서더 극장(Ambassador Theatre)"의 좌석 규모는 1,100석 규모이다. 뮤지컬 "시카고"는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이 2023년 4월  "마제스틱 극장(Majestic Theatre)"에서 방을 빼면서 "현재 브로드웨이 최장 공연 중인 뮤지컬"의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필자 사진> 브로드웨이 뮤지컬 "시카고(Chicago)"가 공연 중인 "앰배서더 씨어터(Ambassodor Theatre)" 전경

 

이 유명 브로드웨이 뮤지컬 "위키드"에서도 전반 마지막에 압권인 마녀 엘파바(Elphaba)가 허공으로 떠오르며 부르는 뮤지컬 넘버 "Defying Gravitiy"가 워낙 유명한 곡이기 때문에 이 곡 제목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게다가 2024년 "위키드"가 영화로도 제작되어 개봉했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곡이 친숙할 것이다. 노래도 좋지만, "defy"도 너무나 좋은 단어이다. 기왕에 재미있는 뮤지컬도 보고 단어도 하나 건지면 일석이조 아니겠는가? "Defying Gravity"를 해석해 보면 "중력을 거슬러"라는 의미가 된다. "defy convention"은 통념을 거스르다"이지만, 우리말의 관용적 표현을 고려하면 "통념을 깨다"라고 하면 딱이다. 

 

▶ defy convention : 통념을 깨다
It had no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they had defied convention.
그것은 그들이 통념을 깼다는 사실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If the method defied convention, that's not his fault.
그 방법이 통념을 깼다면, 그것은 그의 잘못이 아니다. 
It was a show that defied convention.
그것은 통념을 깬 쇼였다.

Their success has defied convention about financing the poor.
그들의 성공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금전적 지원을 하는 것에 대한 통념을 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