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12

"궤를 같이하다"를 영어로?

내 말은 그의 철학과 궤를 같이한다.>> My comment p_ _ _ _ _ _ _s his philosophy.내 말은 그의 철학과 궤를 같이한다.>> My comment parallels his philosophy. 일상에서 자주 쓰는 말은 아니지만, 또 글로는 은근히 많이 접하게 되는 표현이 "궤를 같이하다"가 아닌가 한다. 언뜻 좀 어려운 표현 같기도 하지만, 사실 간단히 말해서 "같다"라는 뜻이다. 여기서 "궤(軌)"는 "바퀴자국" 또는 "수레바퀴"를 뜻하는 한자다. 외자로 "궤"라고 하면 어렵지만, 위성의 "궤도", "무한궤도"처럼 "궤도"는 또 흔히 쓰는 용어라고 생각하면 어려운 말도 아니다. 그런데, "궤를 같이하다"가 어째서 "같다"라는 의미가 될 수 있을까? 생각해 보면 수레바퀴든 ..

"차악(次惡)"을 영어로?

나는 차악에 투표했다.>> I voted for the _ _ _ _er of two e_ _ _s.나는 차악에 투표했다.>> I voted for the lesser of two evils. "최선"이 있으면 "차선"이 있고, "최악"이 있으면 "차악"도 있다. "최선"을 택할 수 없으면, "차선"을 찾고, "최악"이라도 면하려면 "차악"을 선택해야 한다. "차악"은 아마도 정치 투표할 때 가장 많이 쓰는 말인 것 같다. 맘에 든 후보는 없지만, 그중에서 그래도 덜 나쁜 쪽을 택한다고 할 때 "차악"을 뽑는다고 말한다.  이런 "차악"은 영어로는 "the lesser of two evils"라고 한다. 우리말보다 좀 길다. 여기에서는 한자에서 유래한 우리말이 훨씬 경제성을 보이고 있다. "the les..

"결방되다"를 영어로?

뉴스속보로 정규방송이 결방되었다.>> Regular programming was pre_ _ _ _ed by breaking news.뉴스속보로 정규방송이 결방되었다.>> Regular programming was preempted by breaking news. 프로그램 하나 만드는데도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방송 스케줄은 사전에 빈틈없이 짜여진다. 그래서, 긴급한 뉴스 등 다른 방송을 끼우려면 같은 시간대 기존 정규 방송을 취소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이것을 전문용어로 "결방(缺放)"이라고 한다. 결방이 잦은 나라는 그 나라가 무언가 불안한 상황에 있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사실 결방 사유는 산불이나 홍수 같은 자연재해, 정치적 불안정, 대형 사건 사고 아니던가?   "방송이 취소되었다"라고 ..

투자단어: think

think 생각하다 수익률 100% think + ing = thinking생각있는, 사고력있는 (형용사) Moreover, a thinking citizen deserves the basic skills required to make sense through language.게다가, 생각있는 시민은 언어를 통해 이해를 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본적 기술들을 배울 가치가 있다. The educated middle class saw him a thinking person's politician who worked for the country's development.교육받은 중산층은 그를 나라의 발전을 위해 일하는 개념있는 사람의 정치인으로 보았다. 수익률 200%un + thinking = unthinkin..

"다 들리는 데서"를 영어로?

만약 내 친구가 내가 다 들리는 데서 그런 말 하면, 뚜껑 열릴 거야.>> If my friend said that within ear_ _ _ _ of me, I'd blow my lid.만약 내 친구가 내가 다 들리는 데서 그런 말 하면, 뚜껑 열릴 거야.>> If my friend said that within earshot of me, I'd blow my lid. 사람은 역시 자기 자신에게 관심이 제일 많다. 내가 그 자리에 없을 때조차 남이 내 얘기하면 귀가 간지러운 법인데, 심지어 같은 장소에서 있는데 내 얘기를 하면 멀리서도 귀가 쫑긋 하고 올라가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자 능력이다. 이런 상황이 아니어도 우연하게 내 얘기나 다른 관심 있는 정보를 근처에 있다가 흘려듣게 되는 경우는 많다.  ..

"한입으로 두말하다(일구이언)"를 영어로?

너 한입으로 두말하는 거야.>> You are saying two things in the same b_ _ _ _ _.너 한입으로 두말하는 거야.>> You are saying two things in the same breath. 우리가 살면서 어의없고, 황당한 경우가 어떤 사람이 한 입으로 두말할 때이다. 이러면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크게 훼손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또 자신을 돌아보면 남이 볼 때 나야말로 한 입으로 두말한 적이 없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우리가 살면서 한 입으로 두말한다는 사람은 별로 못 보는데 비해서 한 입으로 두말하는 사람은 많이 보게 된다는 사실을 생각해 본다면 본인이 정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한 입으로 두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자신이 그러고 싶어서가 아니라 정말..

"문맥이 잘리다/앞뒤가 잘리다"를 영어로?

그 텍스트는 앞뒤가 잘렸다.>> The texts were taken out of context.그 텍스트는 앞뒤가 잘렸다.>> The texts were taken out of context. 정확한 수치인지는 모르겠지만, 우리의 의사소통은 말로 전달되는 내용 중 겨우 7%에 불과하고, 38%는 목소리 톤을 통해서, 그리고 나머지 55%는 바디 랭귀지로 전달된다고 한다. 숫자의 정확성 여부를 떠나서 우리가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 자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10%에도 못 미친다는 사실이 놀랍다.  그런데, 요즘의 커뮤니케이션은 스마트폰을 통한 텍스트 중심 메시지나 이메일로 주로 교환된다. 문자로 전달할 수 있는 내용이 겨우 7%에 불과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우리가 커뮤니케이션에서 얼마나 많은 것을 놓치고 있을..

투자단어: witch

charm 매력 수익률 100%   be + witch  > bewitch매료시키다, 혹하게 하다 (동사) He was bewitched by her beauty.그는 그녀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었다.They met through a mutual friend and were instantly bewitched by each other.그들은 서로 아는 친구를 통해 만나 서로에게 바로 매료되었다. 수익률 200% bewitch + ing > bewitching 매혹적인, 매력적인 (형용사) In her college years she blossomed into a bewitching beauty.대학교 학창 시절, 그녀는 매력적인 미녀로 활짝 꽃피었다.She has a bewitching smile.그녀는 매..

"탱탱한 면발"을 영어로?

면발이 탱탱하고 쫄깃하네.>> The noodles are s_ _ _ _ _y and chewy.면발이 탱탱하고 쫄깃하네.>> The noodles are springy and chewy. 아마도 한국인들이 밥 다음으로 좋아하고 많이 먹는 음식이 면일 것이다. 대표적으로 우리에게는 칼국수와 짜장면, 짬뽕, 냉면이 있다. 이렇게 면을 좋아하는 음식 문화이다 보니 베트남 쌀국수(포)나 일본 라멘, 우동도 좋아한다. 그런데 사실 베트남 쌀국수나 일본 라멘이나 우동은 미국인들도 좋아한다. 좀 안타까운 점은 한국 음식이 이제 미국에서도 인지도가 많이 올라가고 있지만, 칼국수나 짬뽕 같은 면음식은 아직 베트남 쌀국수나 일본 우동, 라멘처럼 인기 있는 면요리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제 맨하탄같..

"식감"을 영어로?

나는 이 콤부차의 식감이 좋다.>> I like the m_ _ _ _ _ _ _ _ of this kombucha.나는 이 콤부차의 식감이 좋다.>> I like the mouthfeel of this kombucha. 우리는 음식을 먹을 때 맛을 중요시하지만, 따지고 보면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맛의 종류는 몇 가지 안 된다. 고작 해야 짠맛, 쓴맛, 신맛, 단맛이 있고 나중에는 일본에서 발견된 우마미(umami)라고 하는 감칠맛까지 해도 맛의 종류는 5가지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런 맛에 대한 표현도 평면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음식에는 우리는 맛의 일부라고 착각하게 만드는 다른 요소가 있다. 어떤 음식은 바삭하기도 하고, 부드럽기도 하고, 살살 녹기도 하고, 탱글탱글하기도 하고, 쫀득하기도 하고,..